본문 바로가기

주식기초

주식 용어 PER, PBR, ROE, EV/EBITDA 뜻

주식의 적정 가치를 판단할 때 많이 나오는 주식 용어 PER, PBR, EPS, BPS, EV/EBITDA, ROE, ROA 등에 대해 쉽고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읽어도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가장 아래에 요점 정리한 내용만 기억하셔도 됩니다.

 

 

PER & EPS

PER(주가 수익비율)

PER은 주가를 1주당 순이익(EPS)으로 나눈 것으로 주가가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A라는 회사의 주가가 1만원이고, 1주당 순이익이 1천 원이라고 가정하면 10,000(주가) ÷ 1,000(1주당 수익) = 10(PER) A 회사의 PER은 10이 되는 것입니다.

 

PER = 주가 ÷ EPS

 

흔히 PER이 낮으면 저평가 주식, 높으면 고평가 주식이라고 생각하는데 업종마다 차이가 크기도 하고, 그렇게 단편적으로 생각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PER이 낮다는 것은 주당 순수익이 높아서일 수도 있지만 주가가 낮아서일 수도 있기 때문에 시장에서 전혀 관심을 받지 못해서 주가 싸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지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판단할 필요가 있습니다.

 

EPS(주당 순이익)

EPS는 기업의 순이익을 기업이 발행한 총 주식수로 나눈 값으로 1주당 얼마의 이익을 냈느냐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당연히 EPS는 높을수록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EPS = 당기순이익 ÷ 발행주식수

 

PBR & BPS

PBR(주가 순자산비율)

PER이 주가를 수익성으로 판단했다면 PBR은 재무상태로 판단한 것입니다. PBR은 주가를 주당순자산(BPS)으로 나눈 것으로 주가가 순자산에 비해 1주당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쉽게 말해 회사를 청산했을때 주주가 배당받을 수 있는 자산의 가치라고 볼 수 있습니다.

PBR = 주가 ÷ BPS

 

BPS(주당 순자산)

BPS는 기업의 순자산(총자산 - 부채)을 발행한 총 주식수로 나눈 값으로 1주당 순자산이 얼마인지를 나타냅니다. 쉽게 말해 기업이 활동을 중단한 뒤 자산을 주주들에게 나눠줄 경우 1주당 얼마씩 배분되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EPS와 마찬가지로 BPS도 높을수록 좋습니다. 

BPS = 순자산 ÷ 발행주식수

 

ROE(자기자본이익률)

ROE는 쉽게 말해 자기 자본으로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ROE가 높다는 것은 기업이 자기 돈 가지고 그만큼 순이익을 많이 냈다는 뜻이므로 높을수록 좋습니다.

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X 100

 

EV/EBITDA

기업의 시장가치(EV)를 세전 영업이익(EBITDA)으로 나눈 값으로 기업가치가 순수한 영업활동을 통한 이익의 몇 배인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더 쉽게 표현하자면 '기업을 통으로 사버렸을 때 몇 년 안에 본전을 뽑을 수 있는가?'라고 볼 수 있습니다. EV/EBITDA가 3이라면 그 회사를 샀을 때 3년이면 본전 뽑는다는 뜻입니다. 당연히 수치가 낮을수록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요점 정리

위 글을 읽어봐도 도통 무슨 말인지 이해도 안 가고 용어도 외우기 어렵다면 그냥 쉽게 이것만 기억합시다.

 

  • PER : 낮으면 좋은 거
  • EPS : 높으면 좋은 거
  • PBR : 낮으면 좋은 거
  • BPS : 높으면 좋은 거
  • ROE : 높으면 좋은 거
  • EV/EBITDA : 낮으면 좋은 거